강아지 안구건조증 증상 및 진단
안구건조증
사람과 마찬가지로 개에게도 안구건조증이 나타날 수 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샘의 기능 이상으로 안구 표면 및 눈꺼풀에 눈물이 부족해지는 증상이다. 다른 질환과 함께 발병할 가능성이 크며, 방치되는 경우 각막 및 결막 염증 혹은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견주가 안구건조증 증세를 알고있지 않으면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치명도
보통
일상적 관리필요도
보통
증상
- 과도한 눈 깜빡임
- 결막의 혈관이 부어오름
- 결막부종 (눈 표면과 눈꺼풀이 부어오름)
- 눈곱 (고름 혹은 점액의 형태)
- 각막착색 (각막의 일부가 깨끗하지 않고 얼룩진 검은색을 띠게 됨)
- 각막궤양 (각막에 손상이 생겨 일부 부분이 움푹 파이게 됨)
치료법
- 인공눈물, 점안액 처방
- 각막궤양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수의사의 처방에 따라 안연고 및 기타 점안액 처방
- 국소항생제를 통한 염증 예방/치료
- 염증 및 붓기 치료를 위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염 스테로이드제), 시클로스포린 (면역억제제) 처방 가능
- 드물게 수술적 요법 (이하선도관전이술) 시행
원인
- 면역매개질환으로 인한 분비샘 염증 혹은 기타 면역질환
- 신경성 질환 (안구돌출 혹은 눈물샘 신경에 영향)
- 마취나 아트로핀 (부교감신경차단 약물)과 같은 약물 영향 (일시적)
- 설파제 함유 약물 혹은 에토돌락(NSAID 계열) 약물 중독 시 야기 가능 (일시적/영구적)
- 건조한 코가 같은 쪽 눈에 영향을 주기도 함
- 순막 (눈꺼풀 안쪽에 있는 제3의 눈꺼풀) 제거술 시 발생 가능
- X-ray 촬영 시 방사선이 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발생 가능
- 홍역 바이러스
- 클라미디아 결막염 (바이러스성)
- 만성 각막염 (여름철 자외선이 원인이 될 수 있음)
- 선천적/유전적 영향
관리법
- 처방약 투약 후 정기 검진 (눈물량 검사 진행 가능)
- 면역질환이나 신경성 질환으로 야기된 경우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해당 질환에 대한 지속적 관리 필요
- 면역질환 외 기타 원인으로 인한 경우 증세 호전 시까지 투약
질병에 취약한 견종
- 코카스파니엘
- 불독, 퍼그
- 시츄
- 라사 압소
- 요크셔테리어
- 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 테리어
- 암컷이 더 취약하다는 의학적 견해도 있음
진단 방법 & 가격
눈물량 검사
1.3만원
각막 염색검사
1.3만원
- 눈물량 검사: 눈물의 양과 안구의 수분 측정
- 각막 염색검사: 안구 마모, 궤양화 진행여부 검사
강아지 안구건조증 주제에 대하여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신가요?
비마이펫 Q&A 커뮤니티에 질문하고 평균 12시간이내 회원 및
에디터분들께 답변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