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지능, 강아지보다 높을까?

고양이 지능, 사람만큼 똑똑해!

고양이와 사는 집사들은 모두 느낄 것이다. 고양이가 예사롭지 않게 똑똑하다는 것을. “고양이 지능 수준은 거의 사람과 같지 않을까” 생각하는 정도이다.

고양이의 뇌 구조는 사람의 뇌 구조와 약 90퍼센트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장단기 기억 저장, 문제해결 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대뇌피질이 매우 발달했다. (약 3억 개 뉴런 분포)

고양이가 시각적으로 보기보다는 행동을 하면서 배우는 경향이 있는 이유이다.

bemypet-landscape

그렇다면, 실제로 고양이는 얼마나 똑똑한 것일까?

고양이 지능 순위 – 아비니시안, 샴, 벵갈?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장 영리한 고양이는 아비니시안, 샴, 벵갈 3개 종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고양이 지능은 보통 주인과의 상호작용, 다시 말해 사교성과 소통 의지에 따라 순위가 매겨지기 때문이다.

아비시니아, 샴, 벵갈은 모두 사회성이 높은 종이다. 이 고양이들은 주인과 교류하고 놀 때 가장 행복함을 느낀다. 심지어 여러 교육도 잘 따라 한다. 하지만 사회성이 곧 똑똑함의 척도는 아니다.

실제로, 피아노를 치는 고양이로 유명해진 “노라(Nora)”는 태비 고양이다. 놀라운 것은 주인이 고양이에게 피아노를 가르친 적이 없다는 점이다. 그저 주인이 집에서 피아노 레슨을 하는 모습을 흉내 내며 배웠다고 한다.

노라를 포함해 6마리의 고양이가 같이 살고 있지만, 피아노를 치는 고양이는 노라 뿐이다. 노라는 스스로 피아노에 관심을 갖고 치기로 결정한 것이다.

고양이, 강아지보다 똑똑할까?

강아지, 훈련 가능성은 고양이보다 높은 편이지만

“고양이가 더 똑똑한가, 강아지가 더 똑똑한가”의 문제는 고양이와 강아지 주인 사이에서 끊임없이 벌어지는 논쟁이다. 과학적으로는 어떨까?

동물 지능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강아지는 일반적으로 일컬어지는 지능이 고양이보다 높다. 하지만 이 비교에는 허점이 있다. 일반적인 지능은 훈련 가능성을 의미하는 ‘복종형 지능’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강아지는 고양이보다 더 오래 전부터 사람 손에 길들여져 왔다. 이에 따라, 강아지는 안내견, 구조견 혹은 경찰견 등으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 왔고 더 똑똑해 보이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훈련 가능성(복종형 지능)이 ‘똑똑함’ 의미하지는 않아

그러나 지능의 척도가 되는 훈련 가능성이 ‘똑똑함’의 전부는 아니다.

고양이는 자신의 주관이 강하다. 그래서 단순히 주인을 기쁘게 하기 위한 무의미한 일에 참여하기를 거부한다. 그러니 협조가 필요한 각종 지능 연구에도 참여 시키기 어렵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고양이가 더 똑똑하다고 느껴지기도 한다.

고양이, 사람 무시한다는 것 사실일까?

게다가, 많은 사람들은 강아지와 달리 고양이가 자기를 무시한다고 느낀다. 이것은 사실일까?

2013년 동경대학교에서는 20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주인과 모르는 사람 2명의 목소리로 이름을 부르며 반응을 본 것이다.

그 결과, 고양이는 주인의 목소리를 알아듣고 고개를 돌렸다. 하지만 주인을 찾거나 부름에 반응하지 않았다. 인지는 하지만 반응은 안 하는 것이다.

고양이 지능

나의 존재를 알기는 하지만 굳이 반응하고 나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 그것이 ‘무시’라고 한다면 고양이는 사람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우리의 도움이 필요할 때는 우리에게 말을 걸어온다. 고양이에게 우리는 주인이 아니라 집사인 이유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고양이의 복종형 지능은 강아지보다 낮게 측정될 수밖에 없다.

지능 연구에서 확연히 드러나는 고양이의 성향

고양이와 강아지에 대한 지능 연구에서도 성향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2009년 행해진 한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는 숫자를 세거나 식별하는 것에 강아지처럼 능숙하지 못하다.

그러나 다른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는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스스로 방 문을 열고, 가스레인지 불을 키고 수도꼭지를 트는 고양이의 행동을 생각해보면 된다.

강아지는 더 사교적이고 주인을 기쁘게 하려고 한다. 반면, 고양이는 독립성이 높고 사람이 아닌 자기 자신을 위한 무언가를 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러한 성향 차이는 고양이와 강아지의 지능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워킹 독뿐만 아니라 워킹 캣도 있어

많은 사람들은 워킹 독의 존재에 대해 알고 있다. 그래서 “강아지가 고양이보다 더 똑똑하고, 훈련을 받으면서 더 똑똑해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하지만 워킹 캣도 있었다. 뉴욕 타임즈에 따르면 19세기 후반, 벨기에 집고양이 협회는 마을 내 편지를 보내기 위해 37마리의 고양이를 ‘우편배달부’로 이용했었다고 한다.

고양이의 목에 방수팩을 걸고 그 안에 편지를 담은 것이다. 가장 빠른 고양이는 5시간 이내에 목적지에 도착했고 다른 고양이들도 24시간 안에 되돌아 왔다고 한다. 이후 비둘기가 고양이보다 더 빠르기 때문에 이 서비스는 중단되었다고 한다.

고양이 지능 주제에 대하여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신가요? 비마이펫 Q&A 커뮤니티에 질문하고 평균 12시간이내 회원 및 에디터분들께 답변을 받아보세요

루피 엄마

관심분야 “노견, 채식, 여행” / 궁금한 주제가 있다면 ohmypets@bemypet.kr으로 제보해주세요!

4개의 댓글

  1. 사람도 학습의동물인데 지능이 낮은건가?
    ㅋㅋㅋ
    가르쳐서 똑똑한 강아지나 침팬지들은 지능이 높은거고요
    손도못주는 고양이들은 무시가아니라 지능이 낮은거에요
    합리화하길래 지나가다 댓글남겨요

    1. 님 그럼 지금 국회의원이나 대통령 님이 복종하라고 해서 말 안들으면 지능 낮은거에요? 아는데 복종을 안하는거래잖아요 지능은 님이 낮은거같은데

    2. 고양이 행동양식을 파악하고 훈련을 통한 개인기가 가능해요. 개와 같이 식탐이 강한 아이들이 교육이 빠르듯 개묘차가 있죠. 싫어하는걸 죽어도 안하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고양이에게 집사가 원하는 행동 고양이에게 이득이 된다는걸 알려주면 납득하고 그것에 대해서 잘 이용하죠.
      특정동물에 대해 공부도 안하고 지능이 낮은 동물이라고 말하며 댓글을 남기는거보니 동물에 대한 교감보단 겉모습만 좋아하다가 질리면 파양하실거 같은 성향이시네요.

    3. 고양이도 손, 앉기, 엎드리기 등의 개인기를 하는 경우가 많고요 종에 따라서 던지고 물어오기를 하거나 산책을 하는 냥이도 있어요. 냥이에 대해 잘 알지 못하시면 먼저 공부하시던가 아님 댓글을 남기지 말으셔야죠 저는 이 사이트에서 냥이 공부중인데 헐뜯는 듯한 댓글 보니 화나네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관심 있으실 것 같아요!
Close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