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MBTI, 성격 유형 5가지! 우리집 고양이는?

고양이 성격 유형. 어떤 고양이는 개냥이고, 어떤 고양이는 도도하다. 내가 키우는 고양이는 도도하다. 사람에게 MBTI가 있듯 고양이도 성격 유형을 나눌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 아이는 어떤 성격을 가졌을까? 고양이 성격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고양이 성격 유형

고양이가 성장하면서 성격이 형성 돼

고양이는 유전적 요소 뿐만 아니라 성장하면서 성격이 형성된다. 사람도 성장하면서 어떤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 하는 지에 따라 성격이 달라진다. 고양이도 사람처럼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집사와 동물끼리, 환경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성격이 형성된다.

특히 고양이는 생후 3개월까지 사회화시기를 거치는데, 이때 많은 동물과 사람, 환경을 만나는 게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소심해지거나 낯선 사람에게 공격성을 보일 수 있다. 그래서 아기 고양이를 키우는 집사는 사회화 시기에 최대한 많은 사람, 장소, 사물에 노출 시켜 주는 게 좋다.

bemypet-landscape
고양이 성격 유형

고양이 성격 유형 5가지

2017년 링컨 대학의 연구원 로렌 핀카(Lauren Finka) 박사는 200 마리 이상의 고양이와 집사를 인터뷰했다. 그 결과 고양이 성격 유형은 크게 5가지로 나뉜다고 말했다.

1. 사람이 좋은 고양이(Human cat)

  • 애교가 많아요
  • 집사 무릎을 좋아해요
  • 집사에게 많이 의존하는 편이에요

집사와 함께 있는 걸 좋아하는 개냥이다. 집사에게 박치기를 하거나 꾹꾹이를 하는 고양이를 인간 고양이라고 말한다. 무릎에 앉거나 낮잠 자는 걸 좋아한다.

고양이 성격 유형

2. 사냥꾼 고양이(Hunt cat)

  • 사냥에 특화된 고양이에요
  • 장난감을 좋아해요
  • 창 밖을 보는 걸 좋아해요
  • 채터링을 잘 해요

모든 고양이는 사냥을 좋아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사냥에 열정적인 고양이가 있다. 집사가 장난감을 들기만 해도 달려드는 고양이가 그렇다. 장난감과 실제 사냥감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사냥 본능이 뛰어나다.

집사가 집에 없을 때 창을 열어두면 좋다. 날아드는 새를 보면서 채터링을 할 거다. 고양이가 입을 위아래로 빠르게 부딪쳐 소리 내는 행동을 채터링이라고 한다. 창을 열어두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티비에 고양이가 좋아하는 새, 다람쥐 영상을 틀어 놔도 좋다.

3. 고양이스러운 고양이(Cat’s cat)

  • 고양이끼리 친해요
  • 서로 그루밍하고 장난쳐요
  • 아깽이 때 다른 고양이와 함께 지낸 편이에요

고양이끼리 친밀한 성격을 말한다. 합사를 했을 때 서로 코 뽀뽀를 하거나 장난도 치고, 그루밍도 해주는 고양이들이 해당한다. 함께 낮잠 자는 고양이도 있지만, 잠자리는 나눠주는 게 좋다.

고양이 성격 유형

4. 조금 예민한 고양이(Cantankerous cat)

  • 촉각과 환경에 민감해요
  • 스트레스를 잘 받아요
  • 겁이 많고 낯가림이 심해요

환경에 쉽게 스트레스를 받는 고양이들이 있다. 감각이 예민한 경우 그렇다. 촉각과 환경에 민감해서 경계심이 높다. 그래서 집사는 고양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인공 페로몬이나 신경 안정 보조제를 사용해도 좋다. 고양이가 혼자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자.

5. 호기심 많은 고양이(Inquisitive cat)

  • 새로운 사람, 고양이에게 먼저 다가가요
  • 사람이 많은 곳에서도 잘 지내요
  • 호기심이 많아 장난도 잘 쳐요

고양이는 호기심이 많은 동물이다. 특히 호기심이 많은 고양이는 새로운 걸 궁금해한다. 그래서 새로운 사람이 찾아왔을 때 열심히 냄새 맡는다. 신발이나 가방, 외투 심지어 발 냄새까지 맡는다. 이런 고양이는 아기 고양이 시절 새로운 환경이나 냄새, 소리에 자주 노출되면서 만들어진 성격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자주 오가는 집이나 가게, 사무실에서도 잘 지낼 수 있다.

고양이 성격 유형 중 인간 고양이와 호기심 많은 고양이는 외향적이다. 두 성격 모두 호기심이 많고 새로운 환경에 빠르게 적응한다. 하지만 쉽게 흥미를 잃는 경우가 많아 환경을 풍부하게 해주는 게 좋다. 장난감으로 많이 놀아주거나 먹이퍼즐, 새 영상을 틀어도 좋다.

사냥꾼 고양이 경우엔 인간 고양이만큼 집사에게 의존하지 않는다. 창 밖을 쳐다보거나, 먹이퍼즐로 하루종일 잘 갖고 논다. 고양이 같은 고양이와 조금 예민한 고양이도 그렇다. 그러나 사냥꾼 고양이와 다르게 겁이 많다. 경계가 심하고 낯선 환경에 놓이는 걸 싫어한다. 스트레스를 잘 받아 고양이가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는 게 중요하다. 밥 시간, 놀이 시간, 집사 귀가시간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

내가 모시고 있는 치즈냥이 호두

고양이도 사람처럼 독특하고 고유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집사가 고양이 성격 유형을 알면 고양이가 행동하는 이유를 알 수 있다. 내가 모시는 호두는 조금 까다로운 고양이다. 실제로 신경 안정 보조제를 먹이고 있다. 그리고 감각이 예민한 고양이라 조심스럽게 쓰다듬고 있다.

고양이 성격 유형 주제에 대하여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신가요? 비마이펫 Q&A 커뮤니티에 질문하고 평균 12시간이내 회원 및 에디터분들께 답변을 받아보세요

hj.jung

근엄한 츤데레 고양이 호두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건강하게 오래 오래 행복하게 만수무강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모시며 살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