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 컬 고양이 성격과 특징 6가지

아메리칸 컬은 햄스터처럼 둥글둥글한 귀가 특징이다. 외국에서는 아메리칸 컬 고양이 귀를 “초승달처럼 아름답다”라고 하기도 한다. 게다가, 자연적으로 발생한 품종인 만큼 건강하고 유전질환도 적은 편이다. 아메리칸 컬 고양이의 성격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아메리칸 컬

아메리칸 컬 특징

🧬유전자 변이로 인해 귀가 젖혀져

아메리칸 컬과 스코티쉬 폴드는 귀 연골 유전자 변이로 인해 귀가 접히거나 바깥으로 젖혀져 있는 게 특징이다.

보통 고양이 귀는 연골이 부드러워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아메리칸 컬은 귀 밑동의 1/3 부분은 사람 귀처럼 연골이 단단한 편이다. 그래서 다른 고양이만큼 자유자재로 움직이진 못한다.

bemypet-landscape

그리고 아메리칸 컬은 귀 밑동 연골이 단단해서 귀를 만질 때 주의해야 한다. 귀를 세게 잡거나 귀를 잡고 늘이면 귀 모양에 변형이 오거나 골절이 일어날 수 있다.

👂성장할수록 귀가 더 많이 젖혀져

아메리칸 컬은 귀가 90도 이상 180도 이하로 젖혀진다. 그리고 태어난 직후에는 귀가 말려있지 않고 생후 1주 이후부터 귀가 젖혀진다. 그리고 생후 3주에서 10주 정도 귀가 젖히는데, 성묘가 될 때까지 귀 모양은 계속 바뀐다.

귀가 뒤로 살짝 뒤집어진 정도는 1단계, 눈에 띄게 귀가 뒤로 젖혀진 정도는 2단계, 옆에서 봤을 때 초승달 모양으로 완전히 젖혀진 정도를 3단계로 본다.

아메리칸 컬

귀가 펴진 아메리칸 컬도 있어

아메리칸 컬은 부모 중 한 마리만 귀가 말리는 우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도 귀가 젖혀질 수 있다. 반대로, 귀가 말리는 유전자가 없는 경우 귀가 펴진 아메리칸 컬이 태어난다. 이것은 영국 고양이 유전학자 로이 로빈슨(Roy Robinson)이 아메리칸 컬 유전자를 분석하여 발견하였다.

성묘가 되는데 2~3년이 걸려

아메리칸 컬은 성묘 기준 암컷은 최대 3.6kg 정도 나가는 소형묘지만, 수컷의 경우 최대 6kg 정도 나가는 중형묘다. 그리고 아메리칸 컬은 발달이 느려 성묘가 되는데 2~3년 정도 걸린다.

🧶털 색, 길이도 다양해

아메리칸 컬은 털 색도 다양하고, 털 길이도 장모종, 단모종이 있다. 그리고 털 길이에 상관없이 아메리칸 컬은 속털이 거의 없어 털이 잘 엉키지 않는다.

단모종 아메리칸 컬의 경우,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빗질해주면 된다. 하지만 장모종일 경우, 털이 뭉치거나 먼지가 묻는 걸 방지하기 위해 일주일에 두세 번 빗질하는 게 좋다.

장모종 고양이 털 관리하는 방법 더 알아보기

아메리칸 컬 성격

❤️사람을 좋아하는 개냥이

아메리칸 컬은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먼저 다가가고, 적응력도 빠른 편이다. 그래서 어린아이나 노인, 다른 동물이 있는 가정에서 키우기에도 좋다.

샴 고양이러시안 블루, 데본 렉스 고양이처럼 무릎냥이는 아니지만, 집사와 함께 있을 때 가장 행복해한다. 그래서 오랜 시간 고양이와 함께하는 사람을 가장 좋아한다.

장난기가 많은 고양이

🧚‍♂️피터팬 고양이라는 별명이 있어

아메리칸 컬은 겁이 없고 활발한 편이다. 그리고 호기심이 많아 닫혀있는 문, 서랍장은 모두 열 수도 있다. 장난기가 많고 성묘가 돼도 아기 고양이 성격이 그대로 남아있어 “피터팬 고양이”라고 알려져 있다.

똑똑한 고양이

아메리칸 컬은 똑똑한 편이라 원하는 게 있을 때 울기도 한다. 그리고 강아지처럼 물고 가져오는 걸 잘 하는 편이다.

⏰아침마다 집사를 깨우는 고양이

아메리칸 컬을 키우는 집사들은 늦잠을 잘 수 없다. 아메리칸 컬은 아침에 알람이 울리기 전에 집사 얼굴을 톡톡 건드리거나 배를 밟고 다니면서 깨우기 때문이다.

🌏아메리칸 컬 고양이, 어디서 왔니?

아메리칸 컬

미국 출신 고양이

아메리칸 컬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태어난 고양이다. 1981년 6월 캘리포니아주에 사는 한 부부가 길을 지나다 귀가 뒤로 젖혀진 고양이를 발견해 키우기 시작했다. 귀가 뒤로 젖혀져 있고 윤기 나는 검은 털로 덮인 암컷 고양이로, 이름을 슐라미스(Shulamith)라고 지었다.

이후 슐라미스가 낳은 아기 고양이 4마리 중 두 마리의 귀가 젖혀져 있었다. 단모종 슐라미스와 달리 긴 털을 가진 아기 고양이가 있었다. 그리고 1999년 고양이애호가협회(CFA)에서 장모종, 단모종 아메리칸 컬 품종을 인정했다.

🤒아메리칸 컬 유전 질환

아메리칸 컬은 자연 발생 품종으로 유전 질환이 거의 없다. 평균 수명도 15~20년으로 장수하는 편이다. 하지만 몇 가지 유의할 질병이 있다.

외이염

아메리칸 컬은 독특한 귀 모양으로 외이염에 잘 걸릴 수 있다. 귀가 뒤로 젖혀져 있어 귓구멍이 작기 때문이다. 그래서 평소에 고양이 귀 청소에 신경쓰는 게 좋다.

진행성 망막위축증(PRA)

진행성 망막위축증(PRA)은 빛에 민감한 세포인 망막이 퇴행하거나 위축하는 질병을 말한다. 이 질병은 아메리칸 컬, 아비시니안, 뱅갈, 먼치킨, 샴 고양이가 잘 걸리는 질병이다.

아메리칸 컬이 생후 2~3개월일 때 걸릴 수 있다. 이 질병에 걸리면 1~2년 내 실명에 이르게 된다. 만약 고양이가 방향감각을 상실하거나 물건에 자주 부딪친다면 이 질병을 의심해보는 게 좋다.

그 외에도 심장과 신장 질환, 골관절염,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에 취약한 편이다.

아메리칸 컬 주제에 대하여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신가요? 비마이펫 Q&A 커뮤니티에 질문하고 평균 12시간이내 회원 및 에디터분들께 답변을 받아보세요

hj.jung

근엄한 츤데레 고양이 호두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건강하게 오래 오래 행복하게 만수무강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모시며 살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Back to top button